한자칼럼

한자 수(漢字數) 얼마나 되나?

조훈장 2022. 8. 2. 23:56

한자 수(漢字數) 얼마나 되나?

 

  과연 한자의 글자 수는 얼마나 되는가? 조금이라도 한자를 접하거나 공부를 해 보고 싶은 사람에게 물어보면, 36,000? 55,000? 88,000? 등 다양한 대답을 들을 수 있다. 최소한 10만자 이하인 것 같다.

 

이에 과거의 주요 자전들을 통해 한자의 글자 수가 얼마나 늘어난 것인지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漢나라 許愼(허신)이 편찬한 最古의 字典인 說文解字 설문해자(AD 121) 540部首 기준으로 편찬되어 모두 9,353를 수록하고 있으며, 明나라 梅膺祚(매응조)가 편찬한 字彙 자휘(AD 1615)에서는 33,179를 수록하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部首 배열하는 방법은 획수에 의해 분류하고, 같은 획수에 속하는 部首는 설문해자의 배열순서에 따르고 있으며, 214部首를 기준으로 편찬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바로 이 214부수 체계로 교육하고 있다. 淸나라 때에는 강희제의 칙령에 따라 康熙字典 강희자전(AD 1716)을 편찬하였는데, 이는 한나라의 설문해자 다음의 역대 자전을 모두 종합해 편찬했는데, 명대(明代) 매응조(梅膺祚)의 <자휘(字彙)>, 장자열(張自烈)의 <정자통 (正字通)> 등에서 그 구성방식을 따왔지만 내용은 더욱 충실하며, 214개의 부수가 획순으로 배열하고 있다. 진정경(陣廷敬)·장옥서(張玉書) 등 30여 명의 학자가 5년 이상의 세월에 걸쳐 편찬하였는데, 여기서는 49,030字가 수록되어 있다.

 

인터넷 자전사이트인 한전(漢典)에는 93,898字가 수록되어져 있다고 하여 아직 10만자는 넘지 않은 듯하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상용한자(常用漢字)

교육용기초한자(敎育用基礎漢字) : 1,800(1972. 개정)

인명용 한자 (大韓民國 大法院 選定) : 8,142(2015. 1. 개정)

언론계 (韓國新聞協會 選定) : 2,000(1968. 상용한자표)

국가 표준 코드인 KS 코드 한자 : 基本 4,888, 擴張 2,856(7,744)

급수한자 (1급 기준) : 3,500

 

 

외국(外國)의 경우 상용한자(常用漢字)

중국 상용한자 : 현대한어상용한자표(1988) - 상용자 2500자, 차상용자 1000자 : 3500자.

                              상용한자에 간화자 2,235자 포함.  - 중국 교육부 "통용규범한자표(2013)" : 8,105자 선정.

                              1급 한자(의무교육, 필수 한자) 3,500자,

                              2급 한자(출판물 등) 3,000자,

                              3급 한자(인명, 지명 등) 1,605자.

홍콩의 상용한자 : 상용자자형표4,759

대만의 상용한자 : 표준자체표4,808자.

일본의 상용한자 : 1,945자 (일본 내각 고시 공포. 1981.)

현재의 상용한자 수 – 2,136자( 개정. 2010)

 

북한 : 한글 전용 정책.  1964년에 다시 한자 정책이 부활, 현재 상용한자로 3,000자 규정.

 

  위의 내용과 같이 한자문화권의 각국이 권장하는 상용한자의 수는 적어도 3000자에서 5000자 수준의 학습을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흔히 한자 학습자들은 저 3000자를 어떻게 외우고 익혀야 하는지 난감해 하며 처음부터 엄두를 내지 못해 자포자기하는 학습자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가르키는 교사나 훈장의 입장에서 오랜동안 고안된 학습방법들이 상당히 많다. 대표적인 학습방법은 가락이나 음률을 실어 노래를 부르는 것처럼 부수 암기나 천자문 암기 등에 사용되어져 왔다. 

 

 

  본 훈장도 거의 40년 이상 한자를 학습해 왔는데, 글자 수로는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 보지는 않아서 잘 모르지만 고전이나 한문서를 읽고 이해하는데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는 못한다. 분명 익힌 시간이 오래되어 가물가물한 글자도 종종 나타난다. 하지만 모르는 글자들은 극히 적으므로 그때그때 되새김질하듯 찾아보면 된다. 그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송나라 때 유가의 중조라는 주자도 새로운 책을 구해 읽을 때에는 자전을 곁에 두고 그때그때 해결했다고 하지 않던가. 또한 고서 원본을 구해 읽을 때에는 종종 이체자들이 등장하여 난감한 경우도 많아서 제 아무리 뛰어난 암기력을 가진 인사라 하더라도 처음 보는 한문본을 읽을 때에는 자전에 의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한자를 익혀 나가면서 기억이 나질 않는다고 의기소침할 필요나 자신감을 잃어버릴 이유는 없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상용한자 중 1급에 해당하는 배정한자 3,500자는 어느 정도의 분량이 될까? 바로 이 3,500이란 숫자가 엄청나게 많은 것 같지만 실제 한자가 아닌 한글 3500자를 A4용지로 폰트크기 12px로 작성하면  겨우 2~3장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처음 한 글자 한 글자를 이해하고 나서 전체 글자를 모아두고 수시로 외우다 보면 저절로 암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훈장과 비슷한 연배들이 과거 국민학교 시절부터 외웠던 '국민교육헌장'의 경우 409자에 불과하다.

 

국민 교육 헌장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조상의 빛난 얼을 오늘에 되살려, 안으로 자주 독립의 자세를 확립하고, 밖으로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때다. 이에, 우리의 나아갈 바를 밝혀 교육의 지표로 삼는다.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학문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을 계발하고, 우리의 처지를 약진의 발판으로 삼아, 창조의 힘과 개척의 정신을 기른다. 공익과 질서를 앞세우며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고, 경애와 신의에 뿌리박은 상부상조의 전통을 이어받아, 명랑하고 따뜻한 협동 정신을 북돋운다. 우리의 창의와 협력을 바탕으로 나라가 발전하며, 나라의 융성이 나의 발전의 근본임을 깨달아,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스스로 국가 건설에 참여하고 봉사하는 국민정신을 드높인다. 반공 민주 정신에 투철한 애국 애족이 우리의 삶의 길이며, 자유세계의 이상을 실현하는 기반이다. 길이 후손에 물려줄 영광된 통일 조국의 앞날을 내다보며, 신념과 긍지를 지닌 근면한 국민으로서, 민족의 슬기를 모아 줄기찬 노력으로, 새 역사를 창조하자. 1968년 12월 5일 409자

 

  이 내용을 외워 읊으면 채 5분도 걸리지 않는다. 따로 한자 학습법에 대해서 함께 해볼 시간을 가져보겠지만 한 자 한 자 익히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힘든 것이지 이미 배워둔 낱글자를 잊지 않게 되새김질하는 시간은 훨씬 짧으며 보다 더 중요한 것이다. 한자는 자주보다 보면 글자가 여러분에게 다가와서 스스로 자신의 음과 훈을 알려준다. 과거 우리 님들이 학교에 다닐 때 함께 입학하던 수백명의 동창들의 이름도 자주 보다보니 저절로 외워진 것이지 일부러 한꺼번에 외워서 아는 것은 아닌 것이다.   

 

반야심경 260여자, 천수경 1300여자, 금강경 5000여자 도덕경 5000여자

독송 : 반야심경이 약 3, 천수경이 약 15, 금강경이 약 50분 정도,

 

       

漢字部首 214

一丨、ノ乙二亠人亻儿入卜卩厂又口土士夂夊夕大八冂冖冫几凵刀力勹匕匚匸十女子宀寸小尢兀尸屮山巛川工己巾干幺广廴廾弋弓彐彑彡彳心忄㣺戈户手扌支攴攵文斗斤方无日曰月木欠止歹歺殳毋比毛氏气水氵氺火灬爪爫父爻爿片牙牛牜犬犭玄玉王瓜瓦甘生用田疋疒癶白皮皿目矛矢石示礻禸禾穴立竹米糸缶网罒羊羽耂而耒耳聿肉臣自至臼舌舛舟艮色艹虍虫血行衣襾角言谷豆豕豸貝赤走足身車辛辰辵辶邑酉釆里金長門阜阝隹雨靑非面革韋音頁風飛食首香馬骨高髟鬥鬯鬲鬼魚鳥鹵鹿麥麻黃黍黑黹黽鼎鼓鼠鼻齊齒龍龜龠

 

說文解字 部首 540

丄示三王玉玨氣士丨屮艸蓐茻小八釆半牛犛告口凵吅哭走止癶步此正是辵彳廴㢟行齒牙足疋品龠冊㗊舌干𧮫只㕯句丩古十卅言誩音䇂丵菐𠬞𠬜共異舁𦥑䢅爨革鬲䰜爪丮鬥又𠂇史支𦘒聿畫隸臤臣殳殺𠘧寸皮㼱攴教蔔用爻㸚𡕥目䀠眉盾自白鼻皕習羽隹奞萑𦫳𥄕羊羴瞿雔雥鳥烏𠦒冓么𢆶叀玄予放𠬪𣦼歺死冎骨肉筋刀刃㓞丯耒角竹箕丌左工㠭巫甘曰乃丂可兮號虧旨喜壴鼓豈豆豊豐䖒虍虎虤皿去血丶丹青井皀鬯食亼會倉入缶矢高冂𩫖京亯㫗畗㐭嗇來麥夊舛舜韋弟夂久桀木東林才叒之帀出𣎵生乇𠂹𠌶華𥝌稽巢桼束㯻囗員貝邑𨛜日旦倝㫃冥晶月有朙囧夕多毌𢎘𣐺𠧪齊朿片鼎克彔禾秝黍香米毇臼凶朩𣏟麻尗耑韭瓜瓠宀宮呂穴㝱疒冖𠔼冃㒳網襾巾巿帛白㡀黹人𠤎匕從比北丘㐺𡈼重臥身㐆衣裘老毛毳屍尺尾履舟方兒兄兂皃𠑹先禿見覞欠㱃㳄旡頁𦣻面丏首𥄉須彡彣文髟後司卮卩印色卯辟勹包茍鬼甶厶嵬山屾屵廣廠丸危石長勿冄而豕㣇彑豚豸𤉡易象馬𢊁鹿麤㲋兔萈犬㹜鼠能熊火炎黑囪焱炙赤大亦夨夭交尣壺壹幸奢亢夲夰大夫立竝囟思心惢水沝頻𡿨巜川泉灥永𠂢穀仌雨雲魚𩺰燕龍飛非卂𠃉不至西鹵鹽戶門耳𦣞手𠦬女毋民丿𠂆乁氏氐戈戉我亅珡乚亡匸匚曲甾瓦弓弜弦系糸素絲率蟲䖵蟲風它龜黽卵二土垚堇裏田畕黃男力劦金幵勺幾且斤鬥矛車𠂤𨸏𨺅厽四寧叕亞五六七九厹嘼甲乙丙丁戊己巴庚辛辡壬癸子了孨𠫓醜寅卯辰巳午未申酉酋戌亥

 

象形指事 基本 383

角干甲豈去巨車巾犬京系皐高曲工串戈果瓜交丘口求臼龜弓鬼克斤琴亘亙其己樂卵來女老鹿阜北不朋率衰力易大帶刀東兜斗豆兩良量鹵呂了龍栗異馬万萬牟卍望面皿母毛矛木目卯巫戊舞文門勿未方眉米民白番凡丙竝卜缶匕比非飛傘事絲巳山桑象午爾而耳人生舌西鼠夕石卨巢手水首盾升辰尸矢示豕申臣身辛心甚氏亞兒牙也羊於魚燕焉業予余永烏玉瓦臥凹夭要用于又尤牛雨羽云爰月爲由酉肉乙衣已日壬立自子勺爵長典田齊兆爪巴奐幻丁井鼎帝弟平鳥足主州舟竹曾之止且倉冊尺斥川泉凸艸芻丑出朮土貝片疋豊畢函亢亥奚享革穴血頁亨兮互壺戶虎火禾皇回欠鬲冏丱雚冓韭呆几耑彔糸黽丰舃殳兕囟丫戹龠广冉禺逌幺尔尒彝弋宁帚隹巵豸夬孛盍虫凵冂彐巜亅丌冖宀匚釆丿冫彡扌氵心㣺忄厂尢牜囗禸儿㔾卩屮冑亼彳巛黹朵勹户戸册兔一弌二弍三弎四五六七八九十上中下甘丹畺久乃本末无毋參卞弁刃兀曰王聿音入才丸凶朱至叉寸酋太乏丶丨厶叵夂夊廴孑乎爻另叧刁隼豖歹㐱鬒

 

附屬漢字 300

一丶丿乀丨乚フ乙亅く丄亠二冂冖几凵匚匸冫人儿入刀力勹匕卜卩㔾厂厶ナ又丁乂㐅乜了丂丩刁巜土士万卍丈上下丌个丫丸久乇么幺乞也亇彳亍于干才兀尢廿卄廾亡𠔼冃凡刃勺夂夊夕大小女子孑孒㐄舛卂㔿千叉宀巛川工己已巳巾幺寸尸山广廴弋弓彐⺕彑彡𠫓囗乃不丐丏丑中丮丰丯丹之予云互亓五井亢介今仂仁仄卜仆从仍仏允元內公六兮冄円冗冘凶刅分刀切刈𠚩勻勹勽勿勾化匕𠤏十九卆匹区升卅午丱卝卞卬厃厄厷厸厹禸爪㕚𠄎及友𠬝雙双収反呈𡈼壬太天夫夬夭孔尤尹尺屯丕犬戈仇斤斗毛木无女毋毌心文方父比四少水手弔什氏曰日月爪𤓯支攴攵止歹殳巴片爿戶火牙引欠旡爻帀巿欠辵本字辶圠气𠓜艹牛幻王罓扎夲)幺玄市神示玉爭淨水淸丹生靑穴空虍丘虛德杀刹邑那單旨彡頁臾辵辶

 

  위와 같이 가장 기본이 되는 각종 부수나 기본한자들을 시간이 날때 마다 노래부르듯 읊조리는 습관만 가진다고하면 여러분들이 상상할 수도 없는 짧은 시간 내에 습득할 수 있으리라 본다. 

 

  추후 어떻게 외우고 익히는지 영상을 제작하여 수시로 핸드폰을 꺼내 익히는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