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학개론

기학이론(氣學理論)의 연혁 기학이론(氣學理論)의 연혁 무엇보다도 먼저 氣는 하나의 철학적 개념이다. 氣의 개념은 내경이 세상에 나오기 이전에 이미 그 개념이 간단하기는 하지만 생성되어져 있었다. 선진(先秦)시기에 노자(老子), 송형[宋銒], 윤문[尹文]등의 철학들이 “정기학설(精氣學說)”이라 하여 제창하였는데, 그들에 의하면 氣는 천지만물의 원시물질로 구성되어져 있다고 했다. 그외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 그리고 관자(管子) 등에서도 氣에 대한 이야기나 나타나게 된다. 도덕경(道德經)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42章] “만물은 음이 양을 짊어지고 끌어안아서 氣가 서로 부닥쳐 화합한 것이다.) 장자(莊子) 氣變而有形 形變而有生 [莊子 外篇 至樂] “氣가 변화하여 형체를 이루었고, 그 형체가 변하여 생명이 생긴 것이다.” 관자.. 더보기
기학개론 서문 序 일상생활에서 氣에 관한 용어들이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온기(溫氣), 열기(熱氣), 한기(寒氣), 정기(正氣), 천기누설(天氣漏泄), 기상(氣象), 기후(氣候), 전기(電氣), 기고만장(氣高萬丈), 노기충천(怒氣衝天), 분기탱천(憤氣撐天), 기진맥진(氣盡脈盡), 의기양양(意氣揚揚), 사기진작(士氣振作) 등 너무나 많은 어휘들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여기서 말하는 기(氣)란 과연 무엇인가? 이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는 사람들은 극히 미미하다. 항간에 21세기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대표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을 추구하는 현시점에도 무속(巫俗), 역술(易術) 분야를 맹신하고 인간의 운명철학과 연관지어 氣 전문가라 자처하면서 혹세무민하는 인사들도 유행하고 있다. 이는 氣의 실체적 개념에 관해서 .. 더보기